-
[Registry] 레지스트리 편집기 (레지스트리 편집, 레지스트리 내보내기)IT 지식/아는 게 있어야 이해하지 2021. 1. 12. 13:06
윈도우 OS에서는 정보나 설정 관련해서 레지스트리에 저장하고 읽어서 사용합니다.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사용할 때든 개발하는 프로그램이 레지스트리를 사용해야하든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할 일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해서 이 포스트 한 번 읽으면 쉽게 조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레지스트리란
윈도우가 실행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사용자, 네트워크 설정에 관한 드라이버의 설치 위치나 환경 변수 등 모든 정보 기록.
만약 레지스트리 파일이 손상된다면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부팅이 되지 않는 심각한 문제 야기레지스트리 편집기란
간단하게 그냥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기 편하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하기
윈도우 키(시작 키)를 누르고 "실행"을 검색하시거나 Windows10이면 돋보기 모양을 누르고 실행을 검색합니다.
실행 앱을 누르면 실행 창이 활성화 됩니다.
검색에서 실행을 검색해서 접근하는 방법 위 방법은 번거롭습니다.
키보드에서 윈도우 모양의 키를 누른 상태에서 알파벳 R키를 누르면 실행 창이 나타납니다. (단축키로 접근하는 방법)
실행 창에 regedit 입력 실행 창이 나타나면 regedit을 입력합니다.
대소문자 구분이 없습니다. regedit, REGEDIT, Regedit 똑같이 적용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나타납니다.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위 폴더가 여러가지 있는데 어떤 정보냐에 따라 저장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자세하게 하나씩 아는 것도 좋지만 필요할 때마다 습득하기로 하고
이 포스트에서는 HKEY_LOCAL_MACHINE 을 예시로 다루겠습니다.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Kakao\KakaoTalk 컴퓨터\HKEY_LOCAL_MACHINE\SOFTWARE\WOW6432Node\Kakao\KakaoTalk 여기 경로까지 마우스로 클릭하면서
접근해봤습니다. 카카오톡의 레지스트리 값이 저장되는 위치인데 별 게 없습니다.
마우스 우클릭 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 (우클릭)하면 새로 만들기가 나타나고 새로 만들기에 마우스를 올리면 다양한 형식으로 값을
추가할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이후에 필요할 때 해당 레지스트리에 적절한 형식을 골라서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레지스트리 내보내기
목적
1.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기 전에 백업하기 위해 (불안하니까)
2. 이 PC의 레지스트리 설정을 다른 PC에 똑같이 적용하고 싶어서
3. 취향에 맞게 사용
저의 경우에는 보통 백업 용도로 쓰기도 하고 다른 PC에 적용할 때 이용을 많이 하는 기능이었습니다.
추출(Export)하고 싶은 레지스트리 디렉토리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생깁니다.
메뉴 중에 내보내기가 있습니다.
추출하고픈 레지스트리 디렉토리에 마우스 우클릭 내보내기를 누릅니다. 그러면 내보낼 위치를 정할 수 있게 창이 활성화가 됩니다.
내보내기 누르면 저장할 위치 지정하는 창 활성화 원하는 위치를 지정해 저장합니다. 아래와 같이 레지스트리 파일이 생성됩니다.
레지스트리 파일 레지스트리 파일 편집도 가능
레지스트리 파일이 생성됩니다.
레지스트리 파일 이 레지스트리 파일을 우클릭 하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나타납니다.
우클릭 시 나타는 메뉴 편집을 누르면 notepad 형태로 편집할 수 있게 편집창이 나타납니다.
레지스트 파일 우클릭 메뉴 중 편집 눌렀을 때 나타나는 메모장 화면 값을 수정할 때 꼭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들어가지 않고 여기서 편집을 해도 되고 다운 받거나 추출한 레지스트리 파일의 값을 확인하고 싶을 때 열어서 보는 용도로 유용합니다.
레지스트리 파일로 등록하기
레지스트리 파일 레지스트리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레지스트리를 등록할 때 나타나는 메시지 어릴 때 스타크래프트 게임을 다운 받아서 한창 fish 서버(불법이었지만 무료 서버가 되어버린 그 서버) 접속할 수 있게 하려면 레지스트리 파일을 다운 받아서 등록해야했는데 처음엔 컴퓨터 망가질까봐 겁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경고 아이콘이 있고 멘트도 겁을 엄청 주니까 혹시 등록했다가 잘못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메시지 창입니다.
별 내용 없거나 자신이 편집한 내용이면 레지스트리 편집기 가서 고쳤던 내용을 롤백 (돌려놓기)하면 되니까 별 일 아닙니다.
'IT 지식 > 아는 게 있어야 이해하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축키로 계산기 실행 (0) 2021.01.22 [Win32] Virtual Key, VK, 가상키, 키보드 인식, 키 이벤트 (WPF, MFC, C++ 등) (0) 2021.01.15 윈도우 버전 확인하는 방법 (내 PC 윈도우 버전 확인법) (0) 2021.01.13 IDE에서 레지스트리 값 조작 조절 안 될 때 (개발 시 레지스트리 값 접근권한) (0) 2021.01.11 프레임워크란 (Framework란) (0) 2021.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