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S] 모달리티란 (Modality란)
Modality (모달리티)
양식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됩니다.
의료 영상의 경우 외부에서 반입하는 CD 영상도 Input Image입니다. 이 경우는 이미 생성된 영상을 병원의 서버로 획득하는 케이스이므로 아래에서는 촬영 장비에서 발생하는 영상을 예시로 설명하겠습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촬영장비에 Modalities 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모식도를 보았을 때, 촬영장비를 Modalities로 칭하고 있습니다.
X-ray, CT, MRI, US(초음파) 검사는 대중적인 영상 검사입니다.
각 검사는 영상을 촬영하는 데 차이가 있습니다.
X-ray 검사는 X 선을 투과시켜 흡수차이를 이용한 촬영 방식입니다. 흔히 알고 있듯이 뼈 사진을 습득하여 영상 확인이 가능합니다. 또한, Chest 촬영을 통해 기흉 확인하는 것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입니다.
CT는 Computed Tomography(컴퓨터 단층 촬영)의 약어로 X선을 투과시켜 그 흡수차이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인체의 단면영상을 얻거나 3차원적인 입체영상을 얻는 영상진단법입니다.
MRI는 자석으로 구성된 장치에서 인체에 고주파를 쏘아 신체부위에 있는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영상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자력으로 원자 방향을 정렬시키고 파동을 방출시키면서 촬영을 하는 겁니다.
US 검사는 Ultra Sound (초음파) 검사입니다. 인채에 무해한 초음파를 몸 안에 투과시켜 반사 초음파를 이용해 영상을 획득해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각 검사 영상의 결과물만 봐도 검사마다 획득되는 형태가 다릅니다.
검사를 시행할 때, 검사의 방식(영상을 찍기 위한 방법, 검사 진행 방법 등 검사를 위한 방법)이 다른데
이 방식 = Modality(모달리티)로 이해하면 됩니다.
앞서 모달리티는 양식이라는 뜻으로 해석이 된다고 했습니다.
영상 검사에 있어 촬영 양식이 검사 장비(검사 방식)마다 달라지게 됩니다. 원하는 획득 결과를 위해 채택하여 진행하는 양식은 달라지게 되는 것이고 이 양식은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모식도에서 장비의 위치에 Modalities로 표기되어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