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전산/PACS

[PACS] PACS란 ( PACS 뜻, PACS 정의, PACS 구성도)

계발과개발의갭알자 2021. 1. 9. 18:07

병원 전산에 관한 포스트는 별로 없기도 하고 영어로 된 자료가 훨씬 압도적이라 시작해봅니다. 특히 PACS는 국내 자료를 찾기 어려운 것 같아 되는대로 작성 하려고 합니다.

병원 방문 시나리오

손가락이 부러진 것 같아 병원에 방문합니다. 접수 대기실에서 표를 뽑고 기다리다 차례가 되면 접수를 합니다. (원무팀)

진료를 접수해주며 X-RAY  촬영을 해야하니 검사도 함께 접수해준다는 안내를 받습니다. (원무팀

수납을 하고 일반촬영실 (보통 X-RAY 촬영하는 검사실)로 이동합니다. 차례가 되면 촬영합니다. (영상의학팀)

촬영을 마치고 진료실에서 진료를 받습니다. (정형외과 외래)


본 포스트의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하면                                                                                                    PACS는 촬영 준비부터 촬영하고 진료실에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하는 것까지의 과정에 관여/관리하는 체계입니다.

현재는 당연한 진료 과정이기 때문에 환자들은 HIS (병원 정보 시스템), PACS (의료영상저장전달시스템)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컴퓨터가 켜지려면 전력이 공급되고 SSD(혹은 HDD)에서 부팅이 되어야한다는 걸 보통 모르거나 잊고 단순하게 ON/OFF 버튼을 누르면 켜지는 걸로 인식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 만큼 병원 시스템은 이제 당연한 게 됐습니다.

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 영상 저장 전달 시스템

의료영상을 저장하고 이동시키고 (전달하고) 영상을 보는 일련의 과정을 안고있는 체계입니다. PACS는 보통 팍스라고 읽습니다. (팩스로 읽기도 하지만 FAX와 헷갈릴 수 있어 지양하는 편입니다.)

모든 것에는 표준이 중요합니다. A 병원에서 촬영한 사진을 CD로 복사해서 B 병원에 방문하여 볼 수 있는 이유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 영상이 표준을 준수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입니다. 

의료영상은 DICOM(다이콤)이라는 표준을 준수합니다. 손 X-RAY 사진을 찍었을 때, 손의 형태가 담기는 이미지 정보 외에 이 사진의 주인은 이름이 김모땡이고 나이는 몇 살이며 몇 년생인지, 어느 병원에서 찍었고 촬영은 몇 년 몇 월에 찍은 것인지 등 검사에 관련한 정보를 영상에 함께 기록하는데 이 방식이 DICOM입니다. 

사진 파일의 경우 확장자가 .JPG  .PNG  .GIF 등이 있는데 의료 영상 표준인 DICOM 파일의 확장자는 .DCM입니다.        PACS에서는 이 .DCM 파일을 다루고 DICOM 방식으로 통신을 합니다.

처음  PACS라는 체계의 정의를 읽었을 때 '저장하고 전달하는 게 뭔데? 커뮤니케이션인데 왜 전달인데?'라는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준비한 아래의 구성도를 보면 저장 전달 시스템이라는 게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가 갑니다.


PACS Configuration & DATA FLOW


1. 병원 정보 시스템을 이용하는 PC에서 환자의 영상 검사가 처방되었는지 (검사가 접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2. CT를 찍어야하는 환자입니다. 차례가 되면 방사선사 선생님이 환자에게 촬영을 안내하고 촬영 준비를 합니다. 

3. CT 장비를 조작하는 PC (보통 해당 Vendor의 Workstation PC)로 Worklist Server (DICOM 워크리스트 서버)에서 이 CT 장비로 촬영할 검사 목록을 조회합니다. 

4. 검사 목록에서 이번에 촬영할 환자 A의 이름과 병원 등록번호를 확인하고 선택한 뒤 촬영을 시작합니다.

5. CT 장비에서 생성(발생)되는 영상은 선택했던 검사 목록의 환자 A의 개인 정보 + 의료 정보를 함께 포함하여 DICOM 파일이 됩니다. 촬영 간 약 600장 정도의 DICOM 파일이 생성 됩니다.

6. 검사가 완료되면 생성된 의료영상(DICOM 파일)은 DICOM Gateway Sever로 모두 전송됩니다.

7. DICOM Gateway Sever는 CT 장비가 전송한 의료영상(DICOM 파일)을 수신하고 정리해서 (루틴은 검사마다 상이) DICOM Image Server & Storage (서버, 스토리지)로 전송합니다. 그러면 스토리지에 촬영한 영상이 저장됩니다.

8.  상기 2~7까지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획득 과정이고 판독이 필요한 영상은 판독실에서 판독의가 Viewer를 이용해 영상을 조회하고 진료실에서는 진료를 위해 Viewer를 이용해 영상을 조회할 수 있게 됩니다. 

 

정리하여

PACS는 영상 저장 전달 시스템이라고 했습니다. 검사실에서 영상을 촬영하면 영상이 생성되고 이를 서버, 스토리지에 저장하기 위해 촬영 장비와 서버 장비가 영상을 주고 받고, 진료실에서 저장 된 영상을 조회하기 위해 또 서버, 스토리지와 영상을 주고 받게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이 이루어지는 생태계가 PACS (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입니다.